자연색

적색

Red color

  • 적색
  • 적색
  • 적색
  • 적색
  • 적색
  • 적색

붉은색의 종류로는 정색(正色)인 홍색을 비롯하여 다홍색, 천홍색, 꼭두서니, 연지색, 비색,주황색, 분홍색, 도홍색, 자색 등이 있다. 조선시대에서는 홍색을 왕의 의복색으로 정하였 으며 일반인에게는 홍색이 금지되어 있었다. 그런 까닭에 조선 초나 중기에는 권력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말기에는 부녀자 들의 의복색으로 각광받았다. 붉은색은 꼭두서니, 잇꽃(연지), 적송(赤松)의 껍질, 소목의 심재, 오미자 등으로 염색하여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붉은색 계열 중에서 독특한 색채 감각으로 조선인들의 의복색을 꾸며 주었던 자색은 지초의 뿌리를 이용한 것이다.

붉은색은 재앙과 악귀를 물리치는 벽사(辟邪)의 의미도 있었 다. 즉, 양색이므로 음귀를 쫓는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던 것이 다. 새색시가 바르는 연지, 곤지의 빨간색은 젊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여성은 젊음이 충만 할 때 뺨이 홍조를 띄고 기운이 왕 성한 남자는 입술이 붉다. 정열이 달아오르면 불두덩이 뜨거워 지는데 그 부위를 단전(丹田)이라 한다. 아들을 낳으면 금줄에 고추를 여러 개 꽂아 대문 앞에 걸어 둔다. 갓난아이의 정수리 에 주사를 바르고, 아이의 첫 나들이 때에 얼굴에 곤지를 찍으 며, 등에 고추를 매달아 주었다. 이런 풍속은 빨간색이 지닌 벽사의 기능으로써 잡귀와 잡인의 근접을 막으려고 한데서 기인한다.

조선시대에 문과에 급제하면, 붉은 바탕의 종이에 성적과 등급 및 성명을 적은 홍패(紅牌)를 내주었는데 이것은 합격증서로 서 급제를 상징한다. 문헌에 나타난 재래에 한국 붉은색의 명칭은 매우 다양하다. 예컨대 ‘대홍(大紅)’과 ‘다홍(多紅)’은 똑같은 색깔이며, 선홍과 천홍도 같은 색이다. 이와 같이 붉은 색상의 다양한 까닭은 붉은색이 고대로부터 선호되어온 색상 임을 의미하며 그 염료와 엽법의 역사가 유구하기 때문이다.

  • 꼭두서니

    소목

  • 홍화

    코치닐

  • 소목

    지초

  • 코치닐

    꼭두서니

  • 지초

    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