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 color
검정을 상징하는 도상은 오행설에서 말하는 신수(神獸)로
현무도(玄武圖)가 있다. 곧 오행에는 오색이 따르고, 방위와
계절이 따른다. 현무는 오행 중에서 물(水)에 해당하고, 계절
로는 겨울, 방위로는 북쪽이며, 그 색은 검정이다. 5~6세기의
고구려 무덤에는 벽면에 사신도가 등장하는데, 그 중에서 북쪽
에 그려진 것이 현무도이다.
한국의 갓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머리에 썼던 검은 빛의 갓, 즉 흑립(黑笠)일 것이다. 갓은 섬세
한 올 사이로 햇빛과 바람, 눈과 비를 받아내는 동시에 상투와
망건을 은은히 밖으로 드러내는 투명함을 지니고 있다. 직선과
곡선이 절묘하게 조화된 간결한 형태와 이를 감싸는 고결하고
엄격한 검은 빛은 한국 남자의, 양반의, 선비의 기품이자 멋의
상징이다.
Muck(Oriental Black)
‘Muck’ is what Seon-Bi (Korean classical scholar) used to
write and draw with. To use the muck, one has to pour water
into an ink stone and rub the muck on it. The most importa
nt thing to consider in using the muck is to strain the grease
from the ink before using it. Moreover, adding salt into the
ink is effective as small particles of salt help the ink to penetr
ate into gaps of fiber. After applying the ink to the dye subje
ct, dip the subject into cold water for washing. This makes
the dye adhere to fiber and the colour outcome to be more
desirable.
벼루에 물을 붓고 갈아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쓰는
먹도 염료로 쓸 수 있다. 먹은 기름을 태워서 나오는 그을음을
모아 만든 유연묵과 소나무 그을음으로 만든 송연묵이 있다.
화려하지는 않으나 오래되어도 변치 않는 빛이 먹빛이다.
소금을 넣어주면 효과가 더 좋아진다. 미세한 입자가 섬유
사이에 침투하기 좋게 처리를 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곧바로
찬물에 담가 수세를 하면 섬유 속에 염류가 고착되어서 색상이
잘 나온다.
Primary
dyeing
Secondary
dyeing
Primary
dyeing
Secondary
dyeing
Rhus Javancia L
Gallnut is sumac formed by insects that parasite on the leav
es of sumac trees. Very lights brown can be extracted by alu
minum mordant, purplish dark grey can be extracted by iron
mordant and yellowish brown can be extracted with copper
mordant or lye. When gallnut is piled up on another dye, it
dose not interfere with the colour of the other dye and there
fore, it is used as a mordant material.
오배자(五倍子)는 붉나무 잎사귀에 벌레가 기생하면서 생긴
주머니를 말한다. 오배자의 색상은 무색이나 다름없다. 다른
염료에 중첩하여 염색하더라도 색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
므로 흔히 매염제로도 사용된다. 철매염을 하면 보랏빛을
띠는 쥐색으로 염색된다. 신선한 것을 이용하면 보라색이
나온다. 알루미늄 매염에 의하여 극히 옅은 갈색을 얻을 수
있으며, 잿물 또는 동매염에서 황갈색으로 염색된다.
Mordant | Alum AI(CH2COO)3
매염제 | 백반 白礬(CH2COO)3
Primary
dyeing
Secondary
dyeing
Tertiary
dyeing
Mordant | Iron FeCI2H2O
매염제 | 철 鐵 FeCI2H2O
Primary
dyeing
Secondary
dyeing
Tertiary
dyeing
Mordant | Alum AI(CH2COO)3
매염제 | 백반 白礬(CH2COO)3
Primary
dyeing
Mordant | Iron FeCI2H2O
매염제 | 철 鐵 FeCI2H2O
Primary
dyeing
Mordant | Alum AI(CH2COO)3
매염제 | 백반 白礬(CH2COO)3
Primary
dyeing
Secondary
dyeing
Tertiary
dyeing
Mordant | Iron FeCI2H2O
매염제 | 철 鐵 FeCI2H2O
Primary
dyeing
Secondary
dyeing
Tertiary
dyeing
Oriental Lacquer
Lacquered paper is a traditional Korean paper varnished with
lacquer. The mixture of ethanol and turpenine in 1:5 ratio cre
ate the deep brown color we see in lacqured paper. It becom
es tough like leather after dyeing multiple times, and provide
functionality of sterilization and antieczematic to ward off
bugs or moths.
옻칠지는 한지에 옻을 칠하여 만든 한지로, 옻을 에탄올이나
테레핀에 1:5로 희석하여 칠해 짙은 갈색 한지를 만들 수 있다.
여러 번 칠하면 가죽처럼 질겨지며, 좀이나 벌레를 방지할 수
있어 방균, 향습 기능을 지니고 있다.
Primary
dyeing
Secondary
dyeing
Tertiary
dyeing
Lye
The lye is an alkali solution obtained in the traditional way of
burning buckwheat stalks, pepper steams, and others. Som
etimes lye is uesd to ferment the indigo dye and sometimes
it works as a mordant. People also use lye as a dye after th
ey go through the process of eliminating impurities, a step
known as subi.
잿물은 메밀대, 고춧대, 볏집 등을 태워 만든 것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 만든 알칼리성 용액이다. 잿물은 쪽물을 발효시킬
때 사용하기도 하고, 매염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또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비과정을 거쳐 염색에도 사용한다.